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설정부터 실전 매매법까지 완벽 정리

오늘은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 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토캐스틱은 가격의 과이격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매수 매도 신호의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합니다.
설정 방법과 매매법, 그리고 주의사항까지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설명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은 가격의 모멘텀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보조지표입니다. 가격이 특정 기간 동안 고점과 저점에 비해 현재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며,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주로 활용됩니다. 최근 고점과 저점 사이의 위치가 백분율로 표시돼 있어 빠른 판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지표 적용 설정 방법
✅ 메타트레이더4를 이용하면 다양한 보조지표 및 자산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IronFX는 1:1000 레버리지를 지원하고 있어 소액의 자금으로 큰 규모의 투자가 가능합니다.
1. 메타트레이더4를 실행하여 좌측 상단 '삽입'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삽입-보조지표-오실레이터-Stochastic Oscillator를 클릭하여 보조지표를 추가 설정합니다.

2. 지표의 %K, %D, 속도, 가격 필드, MA 방법 등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K 기간을 14로 수정하고 나머지 값은 그대로 둔 다음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 14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간입니다.

3. 스토캐스틱 지표가 적용된 모습입니다.
지표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려면 지표 라인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를 오른쪽 클릭해 주세요.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계산식 공식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계산식은 위 사진과 같습니다.
여기서 C는 현재 종가, L은 해당 기간 최저가, H는 해당 기간 최고가를 의미합니다.
%D는 %K의 값을 나눠 이동 평균한 수치로, 일반적으로 %D는 3 이동 평균을 사용합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매매법

가장 널리 알려진 스토캐스틱 지표의 매매 전략은 지표의 과이격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지표가 20에 닿는 순간부터 가격은 과매도권에 진입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이 지나치게 하락했음을 의미하며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매수 기회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가 80을 돌파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과매수 상태에 진입했음을 나타냅니다.
투자자 입장에선 지표가 80 이상이라면 너무 높다고 판단해 매도를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80을 이탈할 때 추세가 꺾일 것을 예상하고 매도 진입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한 가지 매매법은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매수 매도 진입 포인트 포착입니다. 지표와 가격 움직임이 서로 다른 경우 다이버전스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강세 다이버전스와 약세 다이버전스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강세 다이버전스: 위 사진처럼 가격은 하락중이지만 지표의 저점은 상승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세 다이버전스: 가격은 상승하고 있지만 지표가 하락중이라면 약세 다이버전스로 해석해 가격이 하락 전환될 것을 뜻합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주의사항
스토캐스틱은 지표의 과이격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매매시점을 포착하는 데 유용한 도구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강한 추세가 형성되어있는 경우엔 지표가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가격 움직임을 먼저 확인하고 진입 상황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모멘텀 지표와 같은 다른 보조지표를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crossorigin="anonymous">
IronF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