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S&P/Case-Shiller 주택 가격지수: 미국 부동산 시장의 척도

M
관리자
2024.12.27
추천 0
조회수 23
댓글 0

 



 

 

S&P/CS 주택 가격지수란?

 

S&P/CS 주택 가격지수(S&P/Case-Shiller Home Price Index)는 미국 내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경제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미국의 부동산 시장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S&P 다우존스 지수(S&P Dow Jones Indices)가 발표합니다.

 

주택 가격 상승 및 하락을 주기적으로 보여주며, 20개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 변화를 기반으로 산출됩니다.
연도별 변동률과 전월 대비 변동률이 함께 제공되며, 미국 경제의 소비와 투자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됩니다.
부동산은 시중의 유동성을 가장 잘 흡수하는 자산 중 하나로 유동성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수 발표 일정

    

 

S&P/CS 주택 가격지수는 매월 발표됩니다. 약 2개월 전 데이터를 기준으로 발표되며 12월 발표는 10월 데이터를 기준으로 합니다. 10월 데이터는 2024년 12월 27일 22:30 (한국시간 기준) 발표됩니다. 발표된 지수는 전월 대비 및 전년 동기 대비 주택 가격 변동률을 포함합니다.  

 


 



 

S&P/CS 주택 가격지수에 따른 외환전략

 

1. 달러화 가치와의 상관관계

주택 가격 상승은 미국 경제의 회복력을 나타내며, 이는 달러화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 USD/JPY 롱 포지션EUR/USD 숏 포지션
반대로, 주택 가격 하락은 소비 위축 및 경제 둔화의 신호로 해석되어 달러화 약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 AUD/USD 롱 포지션USD/CAD 숏 포지션
 

2. 금리 정책과 외환시장

주택 가격 상승은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을 고려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금리 상승은 달러화 가치를 높이는 주요 요인입니다.
반면, 주택 가격 하락은 Fed의 금리 동결 또는 인하 가능성을 높이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고금리 통화(예: USD, CAD)에 대한 수요 감소
       - 위험 통화(예: AUD, NZD)에 대한 수요 증가
 

3. 소비자 심리와 외환시장 변동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자산의 가치가 상승했다고 느껴 소비를 증가시킵니다(Wealth Effect). 이는 미국 경제의 강세를 의미하며 달러화 강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택 가격 하락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미국 경제 약세와 함께 달러화 약세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P/CS 주택 가격지수

    

 

데이터 개요: S&P CoreLogic Case-Shiller 주택 가격지수는 2024년 미국 주택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5년 동안 연평균 약 8.92%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 원자재 시장: 주택 시장 상승은 건설 및 인테리어와 관련된 원자재(목재, 철강 등)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가격 하락은 이러한 수요를 악화시켜 원자재 시장의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P/CS 주택 가격지수의 데이터 확인 방법

 

S&P/CS 주택 가격지수를 확인하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하세요.

 

➡️ S&P 다우존스 지수 공식 웹사이트 바로가기: https://www.spglobal.com/spdji
 

- 데이터 다운로드: 발표 자료에는 주택 가격 변동률, 주요 도시별 지수, 전월 대비 및 전년 동기 대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FX트레이딩닷컴 양방향거래 지원

    

 

FX트레이딩닷컴에서는 동시에 투자 헷징에 유리한 매수와 매도 전략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양방향거래를 지원하는 거래소인지 확인하세요.

 

 

 


 

 


crossorigin="anonymous">

댓글

FXTRADING.com

S&P/Case-Shiller 주택 가격지수: 미국 부동산 시장의 척도
M
관리자
조회수 23
추천 0
2024.12.27
S&P/Case-Shiller 주택 가격지수: 미국 부동산 시장의 척도
CFTC 보고서로 본 시장 흐름: 순포지션 이해와 적용
M
관리자
조회수 13
추천 0
2024.12.26
CFTC 보고서로 본 시장 흐름: 순포지션 이해와 적용
미국 비농업 고용지수란? 경제 지표와 시장 영향 분석
M
관리자
조회수 17
추천 0
2024.12.24
미국 비농업 고용지수란? 경제 지표와 시장 영향 분석
외환거래 연습하기: 데모 계좌로 실전 감각 익히기
M
관리자
조회수 13
추천 0
2024.12.23
외환거래 연습하기: 데모 계좌로 실전 감각 익히기
볼린저밴드로 트렌드 예측하기: 설정과 실전 전략
M
관리자
조회수 15
추천 0
2024.12.20
볼린저밴드로 트렌드 예측하기: 설정과 실전 전략
추적 손절매란? 자동 익절을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
M
관리자
조회수 17
추천 0
2024.12.19
추적 손절매란? 자동 익절을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
CCI 지표로 차트 분석하기: 설정과 실전 활용
M
관리자
조회수 16
추천 0
2024.12.18
CCI 지표로 차트 분석하기: 설정과 실전 활용
DMI 설정 및 매매법: 시장 강도와 추세를 판단하는 법
M
관리자
조회수 13
추천 0
2024.12.17
DMI 설정 및 매매법: 시장 강도와 추세를 판단하는 법
FOMC 금리결정과 점도표 읽기: 연준의 메시지 해석법
M
관리자
조회수 14
추천 0
2024.12.12
FOMC 금리결정과 점도표 읽기: 연준의 메시지 해석법
이동평균선 완벽 가이드: 차트 분석의 기본 이해하기
M
관리자
조회수 32
추천 0
2024.12.09
이동평균선 완벽 가이드: 차트 분석의 기본 이해하기
비상계엄령과 암호화폐: 새로운 투자 기회인가?
M
관리자
조회수 22
추천 0
2024.12.04
비상계엄령과 암호화폐: 새로운 투자 기회인가?
스프레드의 정의와 외환거래에서의 중요성
M
관리자
조회수 25
추천 0
2024.12.03
스프레드의 정의와 외환거래에서의 중요성
랏 크기와 외환거래의 기본 단위 이해하기
M
관리자
조회수 44
추천 0
2024.12.02
랏 크기와 외환거래의 기본 단위 이해하기
FOMC 회의록 분석: 연준의 다음 행보를 읽다
M
관리자
조회수 30
추천 0
2024.11.26
FOMC 회의록 분석: 연준의 다음 행보를 읽다
근원 PCE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둔화의 진실을 말하다
M
관리자
조회수 25
추천 0
2024.11.25
근원 PCE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둔화의 진실을 말하다
작성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