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추가 금리인상' 시사…한국 경제 '부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금리 인상을 멈췄다. 다만 연내 0.25%p 추가 인상이 유력한 상황으로, 한국은행의 금리 고민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만약 연준이 오는 11~12월 정책금리를 인상한다면 한미 금리차는 2%p 선마저 돌파해 역대 최대인 2.25%p까지 벌어진다. 이 경우 한은의 '키 맞추기' 금리 인상 압력이 커질 수 있으나 국내 경기 부진과 여전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불안 등이 발목을 잡는다.
21일 국제금융시장에 따르면 연준은 한국 시간으로 이날 새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기존 연 5.25~5.50% 수준으로 동결했다.
연준은 이와 동시에 점도표에서 연말 정책금리 수준을 5.50~5.75%로 유지했다. 이 점도표가 현실화한다는 전제 아래 11월 또는 12월에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한 셈이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는 역대 최대인 2%p 격차로 역전돼 있다. 통상적으로 기축통화국이자 경제규모에서 세계 최대 선진국인 미국보다 한국의 금리가 더 높아야 하지만 이번 금리 인상기에는 한국의 금리가 미국보다 낮은 역전 현상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만일 연준의 예고대로 11~12월 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한미 금리차는 2%p 선마저 뚫고 2.25%p로 확대된다.
이는 한은의 금리 인상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이미 한은 내에서는 최근 가계부채 우려와 유가 상승 등으로 인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금리가 생각보다 오랜 기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거란 예상도 강화됐다. 이 역시 한은에 가해지는 금리 상방 압력을 지지해 주는 요인이다.
미 시카고상업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은 내년 3월에야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을 13.5%의 확률로 반영하고 있으며, 5월에는 29.1%로, 6월에는 35.4%로 반영하고 있다.
금리 인하 시각이 근소하게나마 우세해지는 시점은 지금으로부터 9개월 뒤인 내년 6월이다. 적어도 향후 3개 분기 동안은 지금과 같은 고금리가 유지된다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상형 한은 부총재보는 앞선 통화신용정책 보고서 설명회에서 "연준의 높은 정책금리가 길어질 수 있는 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며 "국제적인 고금리 환경이 조기에 해소될 것이라는 생각은 섣부른 예단이 될 수 있어서 우리도 이에 유의하면서 적응력을 키워나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은이 앞으로 추가 금리 인상을 저울질할 때 국내 경기와 금융 안정이 발목을 잡는다.
우리 경제는 올해는 물론 내년까지도 저조한 경제 성장률이 우려된다.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1.4%로 유지하면서도 내년 성장률은 2.3%로 0.1%p 낮춰 잡았다. 이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마저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도 한국의 성장률은 기존과 같은 1.5%로 고수했다.
이런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상은 안 그래도 부진한 민간소비 등 내수를 끌어내리고 기업의 투자 여력을 위축시켜 경제 성장을 더욱 더디게 할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PF 발 불안이 여전한 점도 한은을 주저케 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지난 3월 말보다 0.16%p 올랐다. 금융 당국은 "연체율 상승 추세는 둔화했지만 고금리 상황 지속 등 하반기에도 부동산 PF 시장 불안 요인이 상존한다"며 "지속적인 관찰·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출처: 인베스팅닷컴
crossorigin="anonymous">
댓글